지난 가을에 2 (세상을 보는 마음 3)

하늘 No.58 [연작] 6297
지난 가을에 2 (세상을 보는 마음 3) Photo-Image


[Joan Baez] Diamonds And Rust  


지난 가을에 2 (세상을 보는 마음 3)
지난 가을에 2 (세상을 보는 마음 3) Photo-Image

세상을 보는 마음 3

감은 눈꺼풀에
눈동자를 그린다 해서
세상이 보이는 것은 아니다.

세상을 보는
가장 쉬운 방법은
그저 눈을 뜨는 것이다.
...
Heart to see the world 3

Even if someone draws eyes on closed eyelids, 
The world can't be visible.

The easiest way to see the world is
just to open eyes.

- 하늘의 세상을 보는 마음 -

No. A1 *
지난 가을에 2 (세상을 보는 마음 3) Photo-Image

No. A2 *
지난 가을에 2 (세상을 보는 마음 3) Photo-Image

No. A3
지난 가을에 2 (세상을 보는 마음 3) Photo-Image

No. A4
지난 가을에 2 (세상을 보는 마음 3) Photo-Image


No. D1
지난 가을에 2 (세상을 보는 마음 3) Photo-Image

No. D2
지난 가을에 2 (세상을 보는 마음 3) Photo-Image

No. D3
지난 가을에 2 (세상을 보는 마음 3) Photo-Image

Photography : 하늘 Edited, Arranged, Produced : 하늘 2002.10.26 고로 압곡사 2002.11.03 카이져호프 2002.11.30 명곡 까치산 2002.12.07 대구시내 2002.12.08 군위돌담마을 2002.12.11 명곡 미래빌 2002.12.13 구미 금오산 2002.12.14 부산 자갈치 2002.12.15 명곡 Konica FC-1, FS-1 Hexanon AR 28mm f/3.5 , Hexanon AR 50mm f/1.7, Hexanon AR 135mm f/2.5 Contax T2 Carlzeiss T* Sonnar 38mm f/2.8 Contax T3 Carlzeiss T* Vario-Sonnar 35mm f/2.8 Nikon 35Ti Nikkor 35mm f/2.8 Rollei QZ 35W Rollei S-Vario Apogon 28-60mm f/2.8-5.6 Leicaflex SL Leica R-Vario-Elmar 70-210mm f/4 Leica M6 Leica M-Summilux 35mm f/1.4, M-Summicron 35mm f/2 (6-8) Fuji Superia 100, AutoAuto 200, Reala 100 Kodak Gold 100, MAX 400 [Special Thanks] mono님 : 모델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SkyMoon.info 지난 가을에 2 (세상을 보는 마음 3) Photo-Image [Joan Baez] Diamonds And Rust
지난 가을에 2 (세상을 보는 마음 3) Photo-Image https://youtu.be/IrVD0bP_ybg https://youtu.be/1ST9TZBb9v8
Diamonds and Rust - Joan Baez 다이아몬드와 녹부스러기 - 존바에즈 Well I'll be damned Here comes your ghost again But that's not unusual It's just that the moon is full And you happened to call 앗. 깜짝이야. 또 너의 환영을 본 것 같아. 뭐 낯선 일도 아니지만... 의미 없는 보름달이 뜬 날 넌 그냥 전화 했던 거였지. And here I sit Hand on the telephone Hearing a voice I'd known A couple of light years ago Heading straight for a fall 그리고 난 여기 앉아서 내가 알던 목소리를 들으려 손에 전화기를 들었지. 먼 옛날 나를 허물어뜨리던 그 목소리를 듣고 있었지. As I remember your eyes Were bluer than robin's eggs My poetry was lousy you said Where are you calling from? A booth in the midwest 내 기억 속 네 눈동자는 지빠귀 알보다 더 푸른 빛이었어. 넌 내 시가 형편없다고 말했지. "지금 어디서 전화해 ?" "중서부 지역 어느 공중전화 부스야" Ten years ago I bought you some cufflinks You brought me something We both know what memories can bring They bring diamonds and rust 10년전이었어 난 네게 커프스 단추를 사줬어 너도 나에게 뭔가를 선물하긴 했는데... 우린 둘 다 알아 추억이 뭘 가져다주는지. 추억은 다이아몬드와 녹슨 부스러기를 가져다주지. Well you burst on the scene Already a legend The unwashed phenomenon The original vagabond You strayed into my arms 넌 내 인생에 갑자기 나타났지. 그때 이미 전설같은 존재였지., 사라지지 않는 인기를 가진 가수 원조 방랑자였지. 그런 네가 내 품 안으로 왔어. And there you stayed Temporarily lost at sea The Madonna was yours for free Yes the girl on the half-shell Would keep you unharmed 내 품에서 넌 머물렀지만 그건 잠깐 바다에서 길을 잃은 것 같았지. 성모 마리아도 아무 댓가도 없이 네 편이셨고 그래 조개껍데기 위에 있는 여신 비너스도 널 다치지 않게 지켜주었지. Now I see you standing With brown leaves falling around And snow in your hair Now you're smiling out the window Of that crummy hotel Over Washington Square Our breath comes out white clouds Mingles and hangs in the air Speaking strictly for me We both could have died then and there 너의 모습이 보여. 갈색 낙엽이 사방에 흩날리고 네 머리에 눈이 내리고 있었어. 워싱턴 스퀘어 공원 너머 그 초라한 호텔 창 밖에서 네가 미소짓고 있었어. 우리 입김이 구름처럼 하얗게 허공에 얽혔지. 순전히 내 생각이었지만 그때가 죽어도 여한이 없었을 때였어. Now you're telling me You're not nostalgic Then give me another word for it You who are so good with words And at keeping things vague Because I need some of that vagueness now It's all come back too clearly Yes I loved you dearly And if you're offering me diamonds and rust I've already paid 넌 이제 내게 말하지. "난 네가 그립지 않아" 그러면서 다른 말들을 하네. 너의 유창한 말 속에 언제나 모호함이 있어. 난 지금 그 모호함이 필요해. 기억들이 너무 선명해지는 것 같아서... 그래 정말 죽을만큼 사랑했었지. 만일 네가 추억(다이아몬드와 녹슨 부스러기)을 다시 내게 주려 하는 것이라면 난 이미 댓가를 치루었어. 변역: 하늘

https://skymoon.info/a/PhotoEssay/58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 [티베트속담]

장기면 바위섬의 일출 (Essay)

5,972  198 
48시간의 하드코어 출사 출사 전날 대구는 천둥번개가 치고 비바람이 몰아치고 있었다. 이런 날 출사라니.. 그것도 일출 촬영이라니... 하지만 무대포 정신으로 무장한 우리들은 48시간의 하드코어 출사를 강행군 하기로 했다. 며칠전 어렵사리 섭외해 둔 알려지지 않은 일출 촬영 포인트를 찾아 갔다. 어디서 촬영할 것인가 고민하며 위치를 찾는 중 아뿔사.. 해가 어디서 뜨는지 정확히 파악이 되지 않는다. 가면서 인터넷으로 태양 일출각은 메모해 두었는데 정작 각도를 젤 수 있는 나침반이 없다. 나침반.. 나침반.. 혼자말을 되뇌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없는 나침반이 생길리 만무하다. 동네 어르신께 해가 어디서 뜨는지 물어보니 해야 저기 동쪽바다에서 뜨지.. 하면서 이상한 사람들 다 본다는 눈치를 보내신다. 어떻게 되겠지.. 하는 심정으로 일단 숙소로 향했다. 아침 5시 출사지로 향했다. 다이나믹한 구름들의 모습을 보며 오늘 일출은 심상치 않을것 같다는 예감이 들었다. 일출전 여명도 그럴듯 하게 그려지고 있었다. 이쪽인가.. 저쪽인가.. 이리 저리 바삐뛰어다니다 보니 어느새 해는 서서히 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한 순간이지만 아.. 하는 감탄사를 내 뱉었다. 바위틈으로 살짝 비치는 일출과 바위섬 건너편에서 그물을 던지는 어부 아저씨가 눈에 띄였다. 사람이 자연속에 있어 풍경으로 보일때가 가장 아름답다는 어느 분의 말씀이 문득

아픔이 일년을 지날때 (대구지하철역사고)

5,244  367 

천천히 보는 세상 (Essay)

6,488  190 
인생은 한바탕의 꿈 언젠가 목숨의 위협을 받는 위험한 상황에 빠진 적이 있었다. "아.. 이젠 마지막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주위의 사물들이 슬로우비디오처럼 천천히 움직이면서 지난날의 삶의 모습들이 슬라이드쇼처럼 스쳐 지나가고 있었다. 누구나 한번쯤은 겪었음직한 이런 경험은 내가 사진을 하고 렌즈를 통해 세상을 보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살면서 보고 겪는 많은 경험들이 기억의 저편으로 잊어버린 후에도 우리의 머리속 어느 한편에서 차곡차곡 재여져 있을 것이란 생각을 한다. 그리고 그것들은 무의식속에서 현재의 우리들의 눈과 생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것이다. 사진이라는 거울 내게 있어서 사진은 거울과 같다. 렌즈를 통해 사물의 상을 카메라에 잡는 것이라지만 사실은 렌즈뒤에 서 있는 나 자신을 찍는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내 사진 속에서 언제나 나의 모습이 보려한다. 그러해서 거울과 같다고 한다. 나는 사진이라는 거울을 통해 현재의 내 모습뿐만 아니라 과거의 내 모습, 미래의 내 모습을 그려본다. 그리고 이 사진들에서처럼 미래의 내가 회상하는 현재의 모습을 그려보기도 한다. 많은 경험과 세월을 보내고 인생의 황혼에 들어서서 할아버지가 된 내가 지금의 나를 회상본다면 그 모습은 과연 어떤 모양일까? 자랑스러울지도.. 혹은 한심해 보일지도 또는 덛없어 보일지도 모를 일이다. 이 사진은 그런 회상속의 내 모습을 그려본 것이다. 거친 세파속

기억의 편린(片鱗)

4,387  216 
봉우리 - 김민기 사람들은 손을 들어 가리키지 높고 뾰족한 봉우리만을 골라서 내가 전에 올라가 보았던 작은 봉우리 얘기 해줄까? 봉우리... 지금은 그냥 아주 작은 동산일 뿐이지만 그래도 그때 난 그보다 더 큰 다른 산이 있다고는 생각지를 않았어 나한테는 그게 전부였거든... 혼자였지 난 내가 아는 제일 높은 봉우리를 향해 오르고 있었던 거야 너무 높이 올라온 것일까? 너무 멀리 떠나온 것일까? 얼마 남지는 않았는데... 잊어버려! 일단 무조건 올라보는거야 봉우리에 올라서서 손을 흔드는거야 고함도 치면서 지금 힘든 것은 아무 것도 아냐 저 위 제일 높은 봉우리에서 늘어지게 한숨 잘텐데 뭐... 허나 내가 오른 곳은 그저 고갯마루였을 뿐 길은 다시 다른 봉우리로 저기 부러진 나무등걸에 걸터 앉아서 나는 봤지 낮은 데로만 흘러 고인 바다... 작은 배들이 연기 뿜으며 가고 이봐, 고갯마루에 먼저 오르더라도 뒤돌아 서서 고함치거나 손을 흔들어 댈 필요는 없어 난 바람에 나부끼는 자네 옷자락을 이 아래에서도 똑똑히 알아 볼 수 있을테니까 말야 또 그렇다고 괜히 허전해 하면서 주저앉아 땀이나 닦고 그러지는 마 땀이야 지나가는 바람이 식혀주겠지 뭐 혹시라도 어쩌다가 아픔 같은 것이 저며 올때는 그럴땐 바다를 생각해 바다... 봉우리란 그저 넘어가는 고갯마루일 뿐이라구... 하여, 친구여 우리가 오를 봉우리는 바로 지금 여긴지도 몰라 우리 땀 흘

오디오와 사진에 대한 단상(斷想)

4,791  390 
오디오 이야기를 하려다 자기 맘대로 흘러 가버린 이야기 트랜스페어런트 (Transparent) 사전상의 의미로는 투명함 이라고 한다. 오디오 기기를 평가할 때 자주 사용되는 단어인 투명성이란 무엇인가? 소리는 보거나 만질 수 있는 구체적인 매체가 없고, 순간적으로 들을 수 있으나 곧 사라지는 추상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그 평가 역시 매우 힘들다. 그럼에도 오디오를 통해 재생되는 소리를 평가하는 기준을 간단히 정리하면 음색, 음장, 다이내믹레인지 이렇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음색이란 각 소리의 특성으로서, 바이올린과 비올라가 같은 '도'음을 내도 소리가 다르게 들리는 근거가 된다. 즉 기본음은 같으나 그 배음이 달라 소리가 다르게 들리게 되며, 전기 전자적으로는 기음과 배음의 합성인 파형이 서로 다른 것이다. 음장이란 음악이 연주되는 공간감에 대한 평가 용어로서 임장감, 정위감 음장감 등으로 표현된다. 눈을 감고도 연주 (녹음) 실황을 상상할 수 있는 느낌을 전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다이내믹 레인지는 소리의 크기와 관련된 것으로 큰 소리와 작은 소리의 차이를 얼마나 정확히 재현해 주는가에 관련된 것이다. 사진적으로 이야기를 하자면 계조라 표현될 수 있다. 그 중 음색은, 재생음은 물론이고 실연에서도 가장 중요하다. 각 악기 고유의 소리를 얼마나 정확히 재생해 주는가는 공간감이나 크기에 앞서 가장 우선되는 상황이다. 소위 말해 피아노

나에게 사진은

5,179  298 
나에게서 사진은 무엇일까? 사진을 시작하면서 처음에 그저 신기함으로 다가 오던 기계와 인화물들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나에게 사진은 어떤 의미로 남아 있는건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본 적이 있다. 나에게서 사진은 일기 혹은 거울과 같은 의미이다. 나는 일기 쓰는 대신 혹은 거울속에 내 모습을 바라보는 것처럼 사진을 한다. 말이야 그럴 듯 하지만 그냥 일기를 계속 쓰면 될 일을 왜 필름 버려 가며 사진 찍고 다니고 있는걸까? 어쩌면 마음 속의 이야기들을 누구에겐가 터놓고 싶은 욕망 때문이었을지도 ... 하지만 한편으론 그렇게 나의 속 마음 모든 것을 내놓기 싫은 자기보호 본능도 있음을 무시하지 못한다. 적당히 암호화 되고 또 적당히 공개되는 어떤 방법.. 그 방법을 사진에서 찾는 것인지도 모른다. 나는 제한된 지면에 사진을 실어야 하는 보도사진을 원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한 장의 사진에 모든 것을 담으려는 노력은 하지 않는다. 스크롤만으로 무제한 늘어나는 컴퓨터 모니터에서 보는 사진이라면 구지 읽기 어렵고 만들기 어려운 압축 과정을 거치려 하지 않는다. 그냥 일기 쓰듯 한 장 한 장 풀어 내려 갈 뿐이다. 그런 나에게 기존의 사진이론은 무의미 할 때가 많다. 노출과 심도, 구도와 분할, 배치와 조합들은 나에게는 큰 구속력이 되지 않는다. 미약하게나마 관심있는 부분은 선과 흐름이지만 이 역시도 그저 개인적인 약간의 관심일뿐이다. 결국

숲속에 들어서다 - old

1  9,746  110 
1. 숲속에 들어서다.. 1. Wandering about in the woods 낯선 길은 항상 두려움이다. 하물며 인적이 없는 숲은 두려움과 동시에 외로움이다. 낮은 억새의 바람소리도 으르렁 거리는 신음소리처럼 들린다. 강한 햇살도 조금도 위안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어른거리는 바람과 그림자때문에 더더욱 혼란 스럽기만 하다. 2. 숲속의 두려움 2. Fear of wood 누군가가 나를 보고 있는것 같다. 고개를 돌려 쳐다보면 아무도 없고... 다시 앞을 보면 옆에서 뭔가가 휙 지나가는듯한 느낌이 든다. 3. 숲속의 두려움을 지나서 3. Over the fear of wood 한참을 그렇게 걷다보니 내가 무엇을 두려워 했는지조차 아득하다. 그저 낯선 느낌때문이었을까? 그저 오래간 만에 왔기 때문일까? 햇살은 다시금 따스하게 보이고 정상 부근의 나즈막한 언덕은 이제서야 정상으로 돌아온 나의 느낌을 일깨워 준다. 지나온 두려움 때문이었을까? 난 지금 희망을 느낀다... 4. 그제서야 땅을 보다. 4. Look at the ground 두려움으로 두리번 거렸던 눈동자는 어느덧 안심된 마음으로 더 이상 무언가를 찾지 않는다. 얼마나 우스운가? 두렵다는 이유로 두려운 것을 찾으려 이리 저리 눈알을 굴려 댔으니.. 왜 나는 눈을 감지 못하였을까? 푸근한 숲에 젖어들면 그제서야 고개를 숙여 땅을 보며 묵묵히 생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1  5,013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