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도함수의 역설 | 미적분학의 본질

제2장: 도함수의 역설 | 미적분학의 본질
3Blue1Brown 한국어

"The paradox of the derivative | Essence of calculus, chapter 2" 번역,
원본 영상 주소: https://youtu.be/9vKqVkMQHKk​

도함수란 순간변화율, '한순간'의 변화율을 구하는 데에 쓰이는 개념이 뿌리잡고 있지만. 변화라 함은 두 지점 사이의 '구간'이 있어야 성립한답니다.
구간을 정의할 수 없는 한 순간의 변화라니, 문장에서 모순이 보이시지 않으십니까?

이번 영상에서는 미적분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도함수, 본 개념에 관해 의구심을 품어보고,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를 보여줍니다.

2020.05.06치 재업로드

00:00​ 도입
01:07​ 핵심 예시와 그래프의 해석
03:01​ 속도와 그 기하학적 의미
07:27​ 도함수
14:18​ 도함수의 역설
16:39​ 마무리

http://bitly.kr/EMwcP8OW8​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https://youtu.be/k_GRlO8kA0Y

https://heisme.skymoon.info/article/SuggInfo/1107  

그는 바람이 불면 바람결에 파도를 맡긴다. 그리고 바람 없이 움직이는 너울을 안고 있었다. 그는 색을 가지지 않지만 깊은 푸른 색으로 비친다. 그리고 가장 낮은 곳에서 세상 모든 빛을 담고 있었다 [하늘-바다, 곁을 걷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