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이 있는 풍경

하늘 No.97 [연작] 4302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Jethro Tull] Elegy  


꽃이 있는 풍경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꽃이 있는 풍경

_
/
|
/
|
/
~

- 하늘의 세상을 보는 마음 -

- Chapter 1 -
No. A1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No. A2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No. A3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No. A4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No. A5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No. B1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No. B2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No. B3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No. B4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No. B5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Photography : 하늘 Edited, Arranged, Produced : 하늘 2003.01.19 대구 수목원 2003.07.12 대구 Dijon (Italian restaurant) Leica R8 Leica Apo-Elmarit 100mm f/2.8 Macro Minolta TC-1, Rokkor-G 28mm f/3.5 Konica chrome SRA 100 Fuji Reala 100 SkyMoon.info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Jethro Tull] Elegy (Stormwatch)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https://youtu.be/YCl4TJCQrUM https://youtu.be/bSZbyAEJIx0 https://youtu.be/0uVSpN7SZSA 꽃이 있는 풍경 Photo-Image
Jethro Tull - Thick As A Brick 7세부터 16세의 영국 소년소녀들이 대거 참가하는 문학경진대회에서 Gerald Bostock 이라는 8세의 소년이 "Thick As A Brick"이라는 대 서사시로 최고의 영예를 얻었다. 그러나 BBC-TV를 통해 그의 대 서사시가 낭송된 후 수백 명의 어른들의 항의와 우려가 방송국으로 날아들었고, 결국 네 명의 저명한 소아정신과 의사들의 테스트를 통해 이 소년은 심각한 정신적 불균형과 함께 신과 조국, 그리고 삶에 대하여 극단적으로 불건전한 사상을 가진 것으로 판결되어, 그만 상을 박탈당한다. 상은 12세의 소녀 Mary Whiteyard에게 돌아가고 'Little Milton'이란 별명을 가진 무서운 천재소년 Gerald Bostock의 대 서사시는 그의 동네인 St. Cleve에서 발행되는 'St. Cleve Chronicle, 1972년 1월 7일 금요일자에 대서특필로 실리게 된다. 한편 런던의 Chrysalis 레코드사는 무서운 천재 문학소년 Gerald Bostock의 재능을 크게 인정하고 소년과 장기 전속계약을 맺으면서 Chrysalis 소속 음악인들의 앨범제작에 작시가로서 정식 채용하게 된다. 당시, 미국 순회공연을 마치고 런던으로 되돌아온 Jethro Tull의 Ian Anderson은 소년의 대 서사시를 읽고 감명을 받아 새로운 앨범의 주제, 타이틀을 'Thick As A Brick'으로 결정하고 녹음에 들어간다. 이와 함께 Chrysalis 레코드사는 Jethro Tull의 새로운 앨범 'Thick As A Brick'의 총 판매량에 대한 로열티를 Bostock 재단으로 지불할 것과 그 기금은 지방 소년소녀들의 문학증진을 위한 기금으로 쓰여질 것이라고 밝혔으며, 소년 작시가 Gerald "Little Milton" Bostock은 Jethro Tull의 앨범에 Ian Anderson과 함께 공동 작시가로서 참여하게 된다고 발표했다. 당시 영국을 깜짝 놀라게 했던 8세 소년이 창조한 논쟁조의 대 서사시를 가사로 1972년 2월 18일, 프로그레시브와 언더그라운드 그리고 재즈가 융합된 새로운 Jethro Tull의 작품 'Thick As A Brick'은 발매된다. 의미심장하고 난해한 가사가 즉흥적인 연주기법과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는 Thick As A Brick은 Ian Anderson의 상징인 플루트와 함께 어쿠스틱 기타연주가 역시 이 앨범 속에서도 크게 빛을 발하고 있다. 또한 그의 바이올린, 색소폰 그리고 트럼펫 연주도 약간 가미되어 있다. 이 앨범 속에서의 Ian Anderson의 플루트 연주는 다른 Jethro Tull 앨범에서는 찾을 수 없는 색다른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Martin Barre의 강렬한 일렉트릭 기타 연주 그리고 그의 멋진 Lute(중세악기) 연주가 간간이 등장하여 앨범을 더욱 아름답게 장식해 주고 있다. 또한 John evan의 오르간 연주와 하프시코드 그리고 피아노 연주는 전체 곡 구성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으며 베이스 주자 Jeffrey Hammond-Hammond의 연주와 Barriemore Barlow의 박진감 넘치는 타악기 파트와 웅장한 팀파니 연주는 곡구성의 골격을 이루고 있다. 한 편의 난해한 전위영화를 보고있는 듯한 느낌을 던져주는 이 컨셉트 앨범에는 영화 속에서의 Fade-black을 연상시키는 곡과 곡 사이의 정적부분들과 함께 다소 불완전한 오케스트라 식의 악절, 미학적 기호에 걸맞지 않는 다소 불규칙적인 테마로서 구성되어져 있다는 약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 앨범을 여러 번 접하고 나면 이러한 약점들이 더욱 신선하게 느껴지면서 이 앨범으로부터 밖으로 노출되고 있는 여러 실수 부분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우리는 곧, 이 앨범이 상업성, 대중성에 도전하는 진보적인 성격의 앨범이라는 것과 높이 평가받을 만한 가치 있는 앨범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https://skymoon.info/a/PhotoEssay/97  

끝을 맺기를 처음과 같이 하면 실패가 없다 [노자]

장기면 바위섬의 일출 (Essay)

5,292  198 
48시간의 하드코어 출사 출사 전날 대구는 천둥번개가 치고 비바람이 몰아치고 있었다. 이런 날 출사라니.. 그것도 일출 촬영이라니... 하지만 무대포 정신으로 무장한 우리들은 48시간의 하드코어 출사를 강행군 하기로 했다. 며칠전 어렵사리 섭외해 둔 알려지지 않은 일출 촬영 포인트를 찾아 갔다. 어디서 촬영할 것인가 고민하며 위치를 찾는 중 아뿔사.. 해가 어디서 뜨는지 정확히 파악이 되지 않는다. 가면서 인터넷으로 태양 일출각은 메모해 두었는데 정작 각도를 젤 수 있는 나침반이 없다. 나침반.. 나침반.. 혼자말을 되뇌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없는 나침반이 생길리 만무하다. 동네 어르신께 해가 어디서 뜨는지 물어보니 해야 저기 동쪽바다에서 뜨지.. 하면서 이상한 사람들 다 본다는 눈치를 보내신다. 어떻게 되겠지.. 하는 심정으로 일단 숙소로 향했다. 아침 5시 출사지로 향했다. 다이나믹한 구름들의 모습을 보며 오늘 일출은 심상치 않을것 같다는 예감이 들었다. 일출전 여명도 그럴듯 하게 그려지고 있었다. 이쪽인가.. 저쪽인가.. 이리 저리 바삐뛰어다니다 보니 어느새 해는 서서히 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한 순간이지만 아.. 하는 감탄사를 내 뱉었다. 바위틈으로 살짝 비치는 일출과 바위섬 건너편에서 그물을 던지는 어부 아저씨가 눈에 띄였다. 사람이 자연속에 있어 풍경으로 보일때가 가장 아름답다는 어느 분의 말씀이 문득

아픔이 일년을 지날때 (대구지하철역사고)

4,647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