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낙서를 보다가

하늘 No.113 [연작] 4735
어느 낙서를 보다가 Photo-Image


[Carola] Blott En Dag  


어느 낙서를 보다가
어느 낙서를 보다가 Photo-Image

. . . 선영이 힘들때마다 오는 곳!! 넌 잘할 수 있어. 화이팅 ^_^ ... 누군가 남겼을 이 낙서를 보면서 나도 모르게 몇몇 얼굴들을 떠올린다.
- 하늘의 세상을 보는 마음 - No. 1 어느 낙서를 보다가 Photo-Image No. 2 * 어느 낙서를 보다가 Photo-Image No. 3 어느 낙서를 보다가 Photo-Image No. 4 어느 낙서를 보다가 Photo-Image No. 5 * 어느 낙서를 보다가 Photo-Image No. 6 어느 낙서를 보다가 Photo-Image No. 7 어느 낙서를 보다가 Photo-Image
Photography : 하늘 Edited, Arranged, Produced : 하늘 2003.04.30 대명동 계대 일리 커피숍 Contax G1, G2 CarlZeiss T* G Biogon 21mm f/2.8, G Planar 35mm f/2, G Planar 45mm f/2, G Sonnar 90mm f/2.8 Minolta TC-1, Rokkor-G 28mm f/3.5 Fuji Superia 100 SkyMoon.info 어느 낙서를 보다가 Photo-Image
[Carola] Blott En Dag 어느 낙서를 보다가 Photo-Image https://youtu.be/IPDjvXJpXzw
Blott en dag, ett ögonblick i sänder Vilken tröst vad än som kommer på! Allt ju vilar i min Faders händer Skulle jag, som barn, väl ängslas då? Han som bär för mig en Faders hjärta Giver ju åt varje nyfödd dag Dess beskärda del av fröjd och smärta Möda, vila och behag Själv han är mig alla dagar nära För var särskild tid med särskild nåd Varje dags bekymmer vill han bära Han som heter både Kraft och Råd Att sin dyra egendom bevara Denna omsorg har han lagt på sig "Som din dag, så skall din kraft ock vara,' Detta löfte gav han mig Hjälp mig då att vila tryggt och stilla Blott vid dina löften, Herre kär Ej min tro och ej den tröst förspilla Som i ordet mig förvarad är Hjälp mig, Herre, att vad helst mig händer Taga ur din trogna fadershand Blott en dag, ett ögonblick i sänder Tills jag nått det goda land Blott En Dag (오직 하루) 오직 하루, 한 순간만 나의 아버지의 손 안에서 쉬는 모든 것들이 그 속에서 위안을 얻게 하소서. 내가 아이로서 무엇을 갈망할 수 있을까? 그는 내게 어머니의 마음을 갖게 하시고, 그는 매일 매일 자비로움과 부드러움을 주시네. 고통을 기쁨으로 만들어 주시네. 그는 항상 내게 가까이 계시네. 특별한 순간에는 특별한 사랑을 베푸시네. 일상의 근심을 대신 지시는, 힘과 도움이라는 두 이름의 그. 그의 모든 값진 재산을 지키시고, 모두를 보살피시네. 당신의 날처럼 힘과 물질들을 그가 약속하셨네. 편하고 고요하게 쉬게 하소서. 사랑하는 아버지의 약속 안에서, 값진 맘의 위안을 헛되게 하지 마시고, 내게 하셨던 약속대로, 도와주소서, 내게 일어나는 일들을. 당신의 믿음직한 아버지의 손으로. 단지 하루, 한 순간만이라도, 하늘 나라에 갈 때까지.

https://skymoon.info/a/PhotoEssay/113  

왜 하필 나는 당신 가슴속에서 태어났을까요 넓은 곳에서 자유로운 곳에서 아름다운 곳에서 태어나지 못하고 여기서만 이렇게 자라나고 있을까요 [원태연-나무]

여행 (로만틱가도)

5,101  126 
여행 (로만틱가도) 그런 곳이 있다. 죽어서 묻히고 싶은 곳.. 한참을 산을 올라서 만난 강 너머의 초원을 보면서 내가 죽으면 저 곳에 묻히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과거의 이 곳에 있었던 수 많은 사람들의 흔적이 없는 것처럼 나 역시 이 곳에 나의 흔적을 남기지 못하리란 걸 안다. 세상 속에 너무 많은 욕심을 남기는 것은 바람처럼 흘러가는 세월을 잡으려는 것처럼 부질 없는 일이다. 로렐라이 언덕 라인강을 내려가는 여행중의 하일라이트, 하이네의 시가 너무나 유명하게 만든 로렐라이. 높이 130m의 바위산 밑을 라인강의 물줄기가 굽이치고 있다. 빠른 물살과 심한 커브로 예전에는 배의 조난사고가 끊이지 않았고, 그것이 사람을 물속으로 이끌어 들이는 마성의 처녀의 전설을 낳았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로만틱가도 독일의 아버지강으로 불리는 라인 강은 예부터 유럽 교역의 중심 수로로 총길이 1,320 킬로미터의 국제하천이다. 라인강 주변에 넓게 펼쳐진 포도밭과 로렐라이 바위 등이 유명하며 특히 마인츠에서 코블렌츠 사이의 절경은 너무나 아름다워 '로만틱 가도'이라고 불린다. 배를 타고 라인강의 정취를 느끼면서 유유히 독일의 남북을 가로지르며 나아가 보면 비로소 독일 여행의 진정한 멋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여행 III (모스크바)

6,529  386 
[Norah Jones] Seven Years 여행 III (모스크바) 러시아에 도착하니 푸슈킨은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라는 싯구절이 떠올랐다. 왜 삶이 나를 속여도 슬퍼하지 말아야 할까? 지난 추억은 결국 소중해진다는 푸슈킨의 결론은 나에게 많은 생각을 던져준다. 사람은 과거에 사는 걸까? 아니면 미래에 사는 걸까? 현재라는 시간은 과연 존재할 수 있는 것일까? == 붉은 광장 == 이곳을 붉은 광장이라 부르는 것은 크라스나야 라는 러시아의 고어에서 유래한다. 원래 아름답다는 뜻을 가진 크라스나야 라는 말은 지금은 붉은 광장 이라는 말로 의미가 통하고 있지만 본래는 아름다운 광장 이라는 의미였다. 이곳을 붉은 광장이라 부르게 된 것은 17세기 이후의 일이며 15세기경만 해도 흙벽으로 둘러싸인 키타이 고로트라는 지구에 수 많은 상인들이 모여들어 노점을 벌이던 곳이다. 붉은 광장의 퇴적토는 4M 가까이 된다고 한다. 이곳을 드나들던 사람들에 의해 1세기에 1M 비율로 토사가 쌓인다고 한다. 이 사이 붉은 광장을 밟고 지나간 사람은 얼마나 많은런지... 위기를 알리는 종소리를 듣고 타타르인의 침입을 막으려고 사람들이 달려온 것은 이 곳이 붉은 광장이라 불리기 한 세기 앞의 일이다. 미닌과 보자르스키가 폴란드를 격퇴한 것은 광장에 토사가 쌓이기 시작하던 무렵이고 농민 반란의 주

캄보디아에서의 행복 (캄보디아)

5,505  104 
제가 그동안 캄보디아 출사여행을 다니며 느낀 생각이지만 연작에 포함될 내용은 아니어서 캄보디아 연작의 끝으로 붙여 봅니다. 아름다운 세상입니다. 언제나 행복하시길... 캄보디아에서의 행복 처음 이곳에 도착해서는 아이들이 이렇게 손가락을 하나 치켜드는 것을 보고는 무슨 뜻인지 몰랐었는데 한참이 지나서 가이드가 이야기 해주기를 "1달러만 주세요" 라는 뜻이라 한다. 이곳의 물가와 인건비를 생각해서 1달러만 주세요 라는 것을 우리나라 말과 시세로 환산하여 번역하면 "3만원만 주세요" 라는 뜻이 된다. 이 나라에서 어린아이에게 이렇게 큰 돈이 생길 기회는 그리 많지 않다. 관광객이라도 워낙 많은 구걸자를 만나기 때문에 처음 한두번 말고는 좀처럼 주머니를 열지 않는다. 관광객 입장에서 구걸이 아니라 무언가를 사주고 싶어도 살만한 것도 없다. 관광객이 많아서 외화가 유입되는 씨엠립은 그나마 상황이 좋은 것이다. 북부 산간지방에서는 하루가 아닌 한달의 수입이 1달러를 넘지 못하는 곳도 있다. 가난하다 말다 하는 정도가 아니라 돈 자체가 아예 없다고 말하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이들은 아직도 물물교환으로 살아가고 있다. 그들을 '원달러피플' 이라고 부른다. 이런 그들의 삶이 고달프고 가난하고 괴로울 것이라 잠시 생각해 본적이 있다. 그러나 곧 그 생각이 옳지 않음을 깨달았다. --- 이들은 80년대까지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