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하늘 No.135 [연작] 4986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이동준] 은행나무 침대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긴 헤어짐일지라도
- 내 책상위의 천사 : 하늘 -

지금은 헤어집시다.

우리들의 만남보다
오히려 더 긴 헤어짐을
겪을지라도

지금은 헤어집시다.

한 낮의 소나기처럼
문득 떠오르는
우리들의 추억이 있더라도

지금은 우리 헤어집시다.

설령 헤어짐의 아픔을
나눌 시간들이 우리에게
모자라더라도

어쩌면 다시는 찾을 수 없는
긴긴 헤어짐이 된다 하더라도

이제는
이제는 우리 헤어집시다.


- 하늘의 세상을 보는 마음 -

No. 1 은행나무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No. 2 기다림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No. 3 * 기억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No. 4 그리움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No. 5 그리움2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No. 6 현실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No. 7 얼굴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aNo. 8 고통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No. 9 일몰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No. 10 일몰2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No. 11 일몰3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No. 12 잊혀짐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이번 연작의 주제는 죽음과 사랑이었습니다. 실제 촬영장소는 무덤가였으며 No. 2 기다림과 No. 3 기억은.. 무덤가에 제사를 지내기 위한 조그만 사당이었습니다. 사진의 묘소가 어느 분의 묘소인지는 모르지만.. 출사전에 준비 삼아 읽었던 (나름대로 연관된) 옛 이야기를 인용해 봅니다.
가면 만드는 허도령 하회의 인접부락에는 허정승의 묘가 있다. 이 무덤을 타성인 류씨들이 해마다 벌초를 해 준다. 더욱이나 하회라면 생각나는 탈춤이 있는데, 이 탈춤의 제작자 역시 허도령으로 전해져 오고 있어서 이 마을에 류씨 일가 이전에 선주민이 있었음을 말해 준다. 그러나 이들 선주민은 풍산 류씨들에 의해 점차 쇠퇴하여 갔다. 그리고 류씨의 동족부락으로 바뀌면서 하회는 비로소 대처(大處) 거촌(巨村)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하회 가면극과 허도령 안동시 풍천면 하회동에는 풍산 류씨들이 모여 살고 있다. 이 마을에는 마을을 지켜주는 별신당이 있어 음력 정월초 이튿날이면 이곳에서 별신굿이라는 부락동신제를 지낸다. 이때 에 가면극이 행하여 졌는데 기원은 약 500년전부터 전승되어 내려오며 가면이 제작된 데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하회마을 동사앞마당에는 부락민 모두가 모여 재미있는 놀이를 만들기 위한 의논이 분분하였다. 놀이의 인물은 양반, 선비, 초랭이, 영감, 부네, 이매, 백정, 할매, 주지, 소등으로 결정이 되었다. 이때 총각하나가 "아닙니다요, 얼마전 윗마을에서 중이 나타나 각시를 업고 도망갔다는데 기왕지사 비뚜러진 양반사회를 풍자하기로 했으니 중, 각시 마당도 집어 넣지요, 어떻습니까?" 젊은이의 말에 모든 사람들은 박장대소하며 찬성하였다. 온 마을 사람들은 놀이를 꾸미는데 신바람이 났다. 그도 그럴것이 이 놀이는 당시 철저한 계급사회 제도 속에서 하천배들에 의해 풍자적이고 해학적인 표현으로 지체높은 양반 지배계급에 대한 실랄한 야유와 비판으로 내용을 꾸몄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맨 얼굴로 춤을 추게 되면 누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 다 알게 되므로 춤추는 자도 꺼리게 되고 보는 사람도 흥이 덜 나므로 탈을 만들어쓰기로 합의 되었다. 허도령은 극구 사양했으나 꿈에 마을의 수호신으로부터 가면제작의 계시를 받고 승낙했다. 이렇게 해서 허도령은 가을이 깊어가는 무렵 하회 마을의 수목이 울창한 깊고 한적한 곳에 외인의 출입을 막는 금색을 친 후 목욕재계하고 전심전력으로 12개의 가면제작에 몰두했다. 허도령은 "12개의 탈을 다 만들려면 3달을 걸려야 할텐데 모든 정성을 다하여 훌륭한 탈을 만들어야겠다. 백정에게는 사나우면서도 솔직한 모습을, 할매에게는 주름지고 고생에 찌든 늙은 탈을, 초랭이는 진짜 촐랑대는 얄밉고 익살스러운 탈을...... 섬세하고 교묘하게 만들어 놀이를 한층 즐겁게 해야지... " 허도령이 깊은 산속에서 탈 제작에 전념하고 있을 때 마을 처녀들 사이에서는 종종 화제가 되었다. 허도령의 탈 제작에 전념하는 모습이 신선 같다느니 빼어난 귀공자 같다느니 하며 은근히 사모하는 처녀들이 많았다. 신선 같다는 허도령의 모습을 소문으로 듣고 몹시 사모하던 한 처녀는 그리움을 참지 못하여 한밤중에 홀로 일어나 뒤곁 은행나무에 정화수를 떠놓고 신령님께 허도령의 일이 하루라도 빨리 끝나게 해달라고 지성으로 빌었다. 허도령이 탈을 만든지 석달이 다 되어가는 어느날 그 날도 처녀는 정화수를 떠놓고 막 기도를 올리려는데 이상하게도 정화수 속에 허도령의 모습과 만들어 놓은 탈들이 비치는 것이었다. 이제야 탈을 다 만들었나 보다고 생각하니 더욱 허도령이 보고 싶어 미칠 것 같았다. 처녀는 참지 못하여 허도령의 처소를 찾아갔다. 교교한 달빛은 처녀의 가슴을 더욱 애타게 만들었다. 늦은 밤인데도 불을 밝히고 허도령은 탈 제작에 여념이 없었다. 마지막 탈 이매탈의 턱을 만들려는 중이었다. 그 모습은 과연 천상의 신선이 내려와 앉은 것 같았다. 그 아름다운 모습을 문틈으로 훔쳐보던 처녀는 욕정을 이기지 못하여 입을 열었다. "허도령님, 허도령님, 작업을 잠시 멈추고 저와 이야기를 좀 나누어요 네!" 도령이 턱을 깎으려다가 여인의 소리에 깜짝 놀랐다. "밖에 뉘시오?" "허도령님, 도령님이 그리워서 찾아 왔어요. 저를 좀 만나주세요?" "아뿔사! 이 부정한 계집이 탈 만드는 광경을 훔쳐보다니...." 이때였다. 갑자기 벼락이 치며 마른 번개가 번쩍이더니 허도령은 그 자리에 피를 토하고 죽어버렸다. 처녀는 기색 혼절하며 도망쳤으나 역시 벼랑에 굴러 죽고 말았다. 이 때문에 이매의 턱은 완성되지 못하였고 턱 없는 이매탈이 이제까지 놀이에 쓰여지게 된 것이라 한다. 탈은 전부 12개가 완성되었으나 일제시대 일본인들이 3개를 가져가 지금은 9개가 남아 국보 제121호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Photography : 하늘 Edited, Arranged, Produced : 하늘 2002.04.07 하회 별신굿 번개 Canon EOS 30, Fuji Sensia 100 Sigma 24-70/2.8, EF70-210/3.5-4.5 SkyMoon.info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이동준] 은행나무 침대 OST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Photo-Image https://youtu.be/FpMUrtQyVEk

https://skymoon.info/a/PhotoEssay/135  

낙엽을 지나는 나의 발자욱 소리만이 함께 하는 시간... 고 요 함 ... [하늘-가을의 길 II]

Now 가는 자(者)와 남은 자(者)

4,987  292 

가을에 (강원도)

4,927  321 
탄광촌 -----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지워지는 어린 날 희미해져가는 추억 과거의 상념 슬플 건 없지만 가슴 한 켠으로 느끼는 허전함 이젠 기억으로만 남을 이곳의 시간들에게 소리 없는 작별 인사를 한다. 그때는 키가 낮은 나였으리라. 작게 흐르는 시냇물을 기뻐했으리라. 그 시간들에게 안녕을 고한다. 안녕... 너와집 ----- 벼농사가 되지 않아서 초가를 이지 못하였다. 거친 나무들을 내내 깍아 지붕을 이고 벽을 치고 그리고 그곳에서 살았다. 삶의 가치가 소유에 있지 않음을 아프게 바라보며 나는 그들의 삶의 흔적을 찾는다. 성긴 나무벽 사이로 들어치는 바람보다 더한 추위를 느끼는 가슴이 시린... 철길 ----- 그것은 삶의 길이었다. 이 거친 산야에서 탈출을 위한 쇠로 만든 길 그것이 유일한 희망이라 생각했다. 한낱 검은 돌이지만 희망으로 가는 차표라고 생각했다. 아. 강원도 ----- 거칠고 지긋지긋한 나무와 돌들이 아름다운 모습이란 걸 느끼기에는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산중턱을 깍아 화전을 일구면서 그들이 볼 수 있는 것은 쟁기를 부러뜨리는 거친 돌뿐이었을테니... 끝없는 산과 산 깊어 가는 가을 삶에서 한걸음 물러서서 상념을 떠올리다. A. 탄광촌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지워지는 어린 날 희미해져가는 추억 과거의 상념 슬플 건 없지만 No

캄보디아에서의 행복 (캄보디아)

4,865  104 
제가 그동안 캄보디아 출사여행을 다니며 느낀 생각이지만 연작에 포함될 내용은 아니어서 캄보디아 연작의 끝으로 붙여 봅니다. 아름다운 세상입니다. 언제나 행복하시길... 캄보디아에서의 행복 처음 이곳에 도착해서는 아이들이 이렇게 손가락을 하나 치켜드는 것을 보고는 무슨 뜻인지 몰랐었는데 한참이 지나서 가이드가 이야기 해주기를 "1달러만 주세요" 라는 뜻이라 한다. 이곳의 물가와 인건비를 생각해서 1달러만 주세요 라는 것을 우리나라 말과 시세로 환산하여 번역하면 "3만원만 주세요" 라는 뜻이 된다. 이 나라에서 어린아이에게 이렇게 큰 돈이 생길 기회는 그리 많지 않다. 관광객이라도 워낙 많은 구걸자를 만나기 때문에 처음 한두번 말고는 좀처럼 주머니를 열지 않는다. 관광객 입장에서 구걸이 아니라 무언가를 사주고 싶어도 살만한 것도 없다. 관광객이 많아서 외화가 유입되는 씨엠립은 그나마 상황이 좋은 것이다. 북부 산간지방에서는 하루가 아닌 한달의 수입이 1달러를 넘지 못하는 곳도 있다. 가난하다 말다 하는 정도가 아니라 돈 자체가 아예 없다고 말하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이들은 아직도 물물교환으로 살아가고 있다. 그들을 '원달러피플' 이라고 부른다. 이런 그들의 삶이 고달프고 가난하고 괴로울 것이라 잠시 생각해 본적이 있다. 그러나 곧 그 생각이 옳지 않음을 깨달았다. --- 이들은 80년대까지

가수리에서

4,833  120 
우리네 아름다운 강 동강은 송천과 골지천으로 시작하여 정선군 북면 여량리에서 만나 비로소 조양강이 된다. 조양강은 정선군 북평면 나전리에서 오대천과 만나 살을 찌우고 정선읍을 가로질러 가수리에서 사북 고한에서 내려오는 동남천과 몸을 섞으면서 동강이라는 이름을 얻는다. 동강의 첫 시작 가수리. 정선에서 가수리 초입까지는 6킬로 정도의 거리이다. 평창 방면으로 42번 국도로 조양강을 따라가다 보면 광하교가 나오고, 다리를 건너지 않고 밑으로 내려서면 가수리로 가는 길이다. 가수리는 수매, 북대, 갈매, 가탄, 유지, 하매 등 6개의 부락으로 이루어진 마을이다. 6개 부락 통틀어 봐야 50여호 남짓한 이곳은 고추와 옥수수 농사가 주업이다. 오송정과 느티나무 그리고 가수분교가 있는 곳이 '수매'다. 가수리는 물이 아름답다(佳水)하여 붙여진 마을 이름이다. 물이 아름답다는 '수매'는 그 본래 이름이 '수며'였다. 옛날 신라가 남진하던 고구려 세력을 몰아내고 한강 상류지역을 손에 넣으면서 명명한 것이라는데, 땅이름은 삼국시대에 생겨났지만, 마을의 역사는 이보다 훨씬 더 길다. 가수리 분교에는 22명의 아이들이 다닌다. 수매, 북대와 멀리 갈매 부락에서 모여든 아이들은 올해에도 또 두 명이 도회지로 떠난다. 이곳에서 만난 민정이(2학년 9살)는, "이윤미는요 2월에 이사 가고여, 전동연이는요 3월에 이사 간데요." 영근이 오빠(5학년), 숙경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