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하늘 No.204 [연작] 1 5795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316] 망향 (No Way To Go Home)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재미 있는 영화는
주인공이 한없이 행복해서도 아니고
바랄것 없이 편안해서가 아니다.

오히려
편안하게 잠에서 깨어 나서
아무런 일도 없이 지내다
다시 잠드는 일상의 주인공이라면
그 영화는 재미 없는 영화가 될 것이다.

No.1 *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삶이 끝난 후 어떤 세상에서는
지난 기억속에 남아 있을
자신의 삶을 아주 오랫동안
회상하게 될 것이다.

시간이 흐를 수록
그 삶의 기억들 속에 남아 있었던
감정이나 바램들은 흐려져 가고
어느 순간에 이르면 남이 만든 영화를 보는 관객처럼
편안히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이 올 것이다.

그리고 아주 오랫동안
그렇게 바라보게 될 것이다.

No.2 *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No.3 *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No.4 *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삶을 살아가는 이 시점에서는
편안하고 아무 일 없기를 바라겠지만
많은 시간이 흐른 후 내 삶을 영화처럼 바라볼 때 입장이라면
흥미진진하고 재미 있는 영화였으면 좋겠다.

No.5 *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삶을 바라보는 눈이 현재라는 시간에 잡혀 있지 않다면
바쁘거나 괴롭거나 즐겁거나 행복하거나 슬프거나 그 어떤 것이든
사건이 생기고 장면이 만들어지고 플롯이 흘러가기에
재미 있다는 것임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나의 삶이 괴롭고 힘든 것에 관계없이
여전히 재미 있을 수 있다는 것은
참 행복한 일이다.


- 하늘의 세상을 보는 마음 -

No.6 *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No.7 *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No.8 *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No.9 *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No.10 *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Photography : 하늘
Edited, Arranged, Produced : 하늘
Floral Arrangement : 하늘
Flower : Gerbera

2010.12.20 ~ 2010.12.26
대구, 한국, 지구

Canon FD S.S.C 55mm/F1.2
Sony Nex 5

 SkyMoon.info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316] 망향 (No Way To Go Home) (Mil)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Photo-Image
https://youtu.be/lSXZgBFTpjQ

https://skymoon.info/a/PhotoPoem/204  

삶을 살아가는 방법은 두 가지 뿐이다. 하나는 세상에는 기적이랄 게 없다는 생각이며 다른 하나는 모든 것이 기적이라 바라 보는 것이다 [아인쉬타인]
  1 Comments
하늘 2018.08.31 18:43  
안개섬
시간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일련의 작품들을 연작으로 바라보니 우리 인생을 바라보는 듯 하네요.
마지막 사진에서 다시 위로 올라가며 바라보고 있으면 가물가물한 기억속 어린시절의 나의 모습을 만날 것만 같은 느낌...
하늘님의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따라가다보면 악보속의 되돌이표와 같이 기억속의 어느 지점으로 되돌려주는 마력이 담겨 있음을 실감하게 됩니다. 올겨울 들어 제일 많은 눈이 왔던 싶습니다. 여기저기 어수선하게 발자국을 찍어댔을 올 한해... 흰 눈을 밟고 집을 나서며 잠시 떠올려보았던 하루였습니다.
하늘 님. 언제나처럼 뜻 깊고 넉넉한 시간들로 채워지시기를 소망합니다
 
하늘
사실 이렇게 연작이랍시고 사진을 만들어 올릴때면 많이 부끄러울때가 많습니다.
이렇게 저렇게 몇줄의 멘트를 달곤 하지만 스스로를 돌아보면 언제나 부족하고 움츠러들게 됩니다.
가끔씩 꽃꽂이를 할때가 있습니다. ^^;;
자연의 식물들을 다시금 배치해보고 새롭게 바라보는 기회를 얻는 것만으로도 참 좋은 경험이라 생각합니다.

눈이 참 많이 와서 좋습니다..
말마따나 불편하긴 하지만 편안하다고 다 좋은건 아니니까요.. ^^
언제나 제 스스로의 사진의 의미보다 안개섬님의 바라보는 눈길에서 더 깊은 의미의 깊이를 배우곤 합니다.
감사합니다. 꾸뻑.. ^^

ps; 눈길 조심하시며 다니시길 빌며~
 
뷰렛
차분하게 사진도 꽃꽂이도 감상하고 글도읽고 음악도 듣고 사색도 하고 갑니다....^^
문득 예전에 찾았던 구본창 사진전 '백자(vessel)'가 떠오릅니다.
꽃꽂이가 다른나라의 언어는 어떠할까 궁금해서 찾아보니 영어권에서는 ' flower arrangement '라 불리고 일본에서는 '華道'라 불리는 군요...^^ 개인적으로 한글 꽃꽂이도 참 좋지만 원어에 속뜻이 잘 표현된 듯 합니다.^^;;

Now  삶이라는 영화를 바라보며

1  5,796  289 

그대가 사랑에 대해 물었었지요...III (완)

1  11,666  345 
마음은 마치 그릇과 같습니다. 많은 것이 담기고 때론 비울 수 있습니다. 마음에 담기는 감정들은 바깥에서 들어오기도 하고 이미 그릇에 담겨 있던 많은 것들이 서로 섞여 새로운 감정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마음이란 그릇속에서는 언제나 많은 것들이 섞여 있고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타인이 그대에게 "좋아 한다" 라는 감정을 줄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그대는 그것을 그대의 마음에 담을 수도 있고 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담았다가도 다시 비워낼 수도 있습니다. 감정이라는 것은 단지 마음속에 담는 내용물일 뿐입니다. 비밀 하나 이야기 해 드릴까요? 사랑이라는 감정은 사실은 없는 겁니다. 사랑은 마음에 담을 수 있는 감정들 중 하나가 아니라 그 마음 스스로에 대한 이야기랍니다. '사랑을 나눈다' 라는 것은 마음 일부를 나누어 주고 받는 것입니다. 그릇에 담기는 내용물이 아니라 그 그릇 일부를 떼어 주는 것입니다. 무엇이 다르냐고요? 마음을 서로 나누면 감정이라는 것과는 달리 같은 재질이기에 그릇이었던 자신의 마음이 받은 마음과 섞이게 됩니다. 그것은 마치 파란색 물과 빨간색 물이 섞이는 것과 비슷합니다. 색은 다르지만 서로 같은 물이니까요. 그리고는 다른 색의 물이 되어갑니다. 자신의 마음 자체가 바뀌어 집니다. 내용물이 아니라 그릇이 바뀌는 것입니다. 그것은 비워질 수 있는게 아닙니다. 이전과는 다른 마음,

그대가 사랑에 대해 물었었지요...I

1  12,158  352 
사실은 사랑이 아닌 것들... 그대가 제게 물었었지요. 무엇이 사랑이냐고? 위안, 위로, 동질감, 외로움, 쓸쓸함, 그리움, 쾌락, 욕구, 종족보존욕, 소유욕, 독점욕, 정복욕, 이기심, 약오름, 허영심, 대리만족, 자기만족, 증명, 확인, 감정이입, 동화, 자기애, 자기연민 학대, 최면, 두려움, 부채감, 혐오감, 질투, 시기, 불안, 체념, 나태함, 귀찮음, 습관, 관성, 도피, 복종, 비밀, 은밀함, 거울 새로움, 신선함, 설레임, 기대감, 긴장감, 궁금증, 소일거리, 도움, 구함, 존경, 경외, 호감, 보답, 공유, 전달, 책임감, 가르침, 의무감, 투자, 거래, 절약, 변화 친근함, 친숙함, 익숙함, 휴식, 기대임, 의지함, 안락함, 편안함, 교감, 나눔, 신뢰, 믿음, 뿌듯함, 황홀감, 행복감, 일체감, 애틋함, 동정심, 연민, 보살핌, 희생, 헌신 저 위에 적혀 있는 단어들을 덜어 내고 남은 것이 비로소 사랑입니다. 고개를 갸웃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아주 간단한 규칙입니다. 다른 점이 있기 때문에 다른 단어로 표현 되는 것이 아닐까요? 덜어 내야 할 단어들은 마음이라는 그릇에 함께 담겨 있지만 사랑과 쉽게 헷갈리는 것들입니다. 이런 것들은 서로 서로 혹은 사랑과도 함께 연결되어 있어 마치 엉킨 끈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 중 어느것이라도 당기다 보면 사랑이란 것도 따라 올 때가 있을겁니다. 그래서 이 모두를

그들의 사랑

5,386 
그리운 통화 - 추영희 - 한번 주고받은 눈길만으로도 소설처럼 죽고 싶은 때가 있습니다 산다는 일이 무시로 아파 살을 부비며 밤새 편지를 써봐도 심장에 쾅쾅 박히는 수신인 불명의 낙인 아침이면 언제나 머리맡에 수북히 쌓이는 단어들의 절망 [여보세요] [보고 싶군요] [건강 하세요] 이 흔한 말 한번 나누기가 그리 힘든 일인지 작은 기침 소리라도 보고 싶은 인사 한마디로 들려올까 열 손가락 끝끝마다 깨물고 다이얼링 하면 그대의 깃털 같은 목소리는 부재하고 밤새도록 뒤척이는 약속의 낱말들 딸가닥 핏줄 끊어지는 소리 회선을 타고 영혼의 뿌리를 흔들며 울 때 나는 유서의 말을 준비합니다 내버려 두십시오 부디 사랑하는 자 사랑하게 그리운 자 그리워하게 살아 주십시오 살아 있어서 고마운 그대 - 차마 소중한 사람아 II - 명진출판 악마님과 메이르님을 촬영해 보았습니다. 가끔 염장샷 포즈를 취하긴 하지만 제가 볼 땐 보기 좋기만 하네요 ^^ 바디 빌려주신 질랸님, 렌즈 빌려주신 뽀맥님 노출용 마루타 해 주신 데이트센터님 때마춰 출타하셔서 맘 편하게 촬영에 임하게 할 수 있었던 사진 이야기 사장님 등등에게.. 감사의 인사를.... 모델로 고생하신 메이르님과 악마님께.. 감사~ Photography : 하늘 Edited, Arranged, Produced :

잠입 안하고 대 놓고 르뽀.. 공깃돌 도박단의 실체

5,696 
지난 2월 8일 본 기자는 유쾌한 학교라는 도박장 (일명 하우스) 에 잠입하여 차마 눈뜨고 보기 힘든 만행의 현장을 공개한 기사를 썼다. 이 기사로 인해 그동안 목숨의 위협을 많이 당했으나 진실의 힘은 모든것을 이길 수 있다는 신념으로 이 기사의 마무리 부분을 쓰고자 한다. 돈이 떨어진 도박단들은 몸으로 떼우라며 폭행을 가하게 되는데... ----- 도박장 입구에는 험상굿게 생긴 폭력배로 보이는 사람이 가죽 장갑을 막 벗으면서 "오늘도 한 명 보냈군" 이라는 혼자말을 들었다. 차후에 경찰에 신고할 요량으로 그 사람을 촬영하려하자 재빨리 얼굴을 가리려한다. 드디어 폭력장면을 촬영할 수 있었다. 피해자는 망연자실한 표정으로 이미 마비된 자신의 손목을 보고 있다. 곧바로 이어지는 비명소리에 고개를 돌려보니.. 두번째 희생자는 이빨을 꽉 물고 곧 다가올 고통에 두려움을 떨고 있지만 가해자는 즐거워만 하고 있다. 첫번째 희생자는 아까의 고통으로 인해 머리를 감싸고 괴로워하고 있다. 한쪽켠에선 그 와중에 대마초를 피우려는 마약중독자의 모습이 보인다. (새로 구입한 대마초를 말면서 흐뭇해 하는 표정) 촬영중인걸 눈치채자 서둘러 얼굴을 가린다. ... 언제나 진실은 저 너머에 ... - 언제나 진실만을 보도하는 하늘 기자 - 2003.02.03 유쾌한 학교 Ca

하회 별신굿 탈놀이

5,562 
하회별신굿탈놀이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에서 12세기 중엽부터 상민들에 의해서 연희되어온 탈놀이이다. 하회마을은 풍산 류씨 동족마을로써 우리 조상들의 생활 문화가 가장 잘 보존되어 오늘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어 하회마을 전체가 중요 민속자료 제122호로 지정되어 있다. 하회마을의 지형은 연꽃이 물 위에 떠 있는 모습이며, 마을을 감아도는 낙동강과 산줄기가 태극무늬를 이루고 있는 형국이라한다. 동쪽으로 화산이 있고 서남북쪽으로는 낙동강이 굽이 돌아 마을을 감싸고 있어 외부와 쉽게 통할 수 없는 위치에 있다. 이러한 지리적인 조건은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있으며 고립되어 있어서 여러차례에 걸친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마을을 온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원인이 되었다. 하회마을이 지닌 훌륭한 자연환경은 이 마을 사람들에게 유달리 풍성한 감성을 지니게 하였으며 하회별신굿탈놀이라는 불후의 걸작품을 잉태하게된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한국의 탈춤은 서낭제탈놀이와 산대도감 계통의 탈놀이로 대별한다고 할 때 하회 별신굿 탈놀이는 서낭제탈놀이에 속하는 것으로써 별신굿이라는 종합적인 마을굿에 포함되면서도 연극적인 독립성을 뚜렷이 가진 놀이이다. 하회마을은 매년 정월 보름과 4월 초파일(8일)의 이틀에 걸쳐서 동제가 지내졌다. 이 마을의 성황신은 여성신으로서 무진생 성황님으로 불리나 이 성황신에게 매년 제사를 지내는 것을 동제(당제)라 하고 별신굿은 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