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Deutsche) - 로렐라이(Loreley), 뤼데스하임(Rudesheim)

하늘 No.189 [해외] 4091
#0
독일(Deutsche)-로렐라이(Loreley),뤼데스하임(Rudesheim) Photo-Image
#1
독일(Deutsche)-로렐라이(Loreley),뤼데스하임(Rudesheim) Photo-Image
#2
독일(Deutsche)-로렐라이(Loreley),뤼데스하임(Rudesheim) Photo-Image
#3
독일(Deutsche)-로렐라이(Loreley),뤼데스하임(Rudesheim) Photo-Image
#4
독일(Deutsche)-로렐라이(Loreley),뤼데스하임(Rudesheim) Photo-Image
#5
독일(Deutsche)-로렐라이(Loreley),뤼데스하임(Rudesheim) Photo-Image
#6
독일(Deutsche)-로렐라이(Loreley),뤼데스하임(Rudesheim) Photo-Image
2007.05.08
독일 (Deutsche) - 로렐라이 (Loreley), 뤼데스하임 (Rudesheim)
= 라인강 (Rhein R.) - http://100.naver.com/100.nhn?docid=53741
 -로렐라이 (Loreley) - http://100.naver.com/100.nhn?docid=55403
 -뤼데스하임 (Rudesheim) - http://100.naver.com/100.nhn?docid=763161
 -코블렌츠 (Koblenz) - http://100.naver.com/100.nhn?docid=151776

=모젤강 (Moselle R.) - http://100.naver.com/100.nhn?docid=63220
 -코헴 (Cochem) - http://blog.naver.com/bittnamu/110014356683

라인강 고성 호텔(오버베젤,쇤부룩 호텔) 숙박 - 280 Km
http://www.hotel-schoenburg.com

Canon EOS 1D
Canon EF 135mm F2 L


라인강 (Rhein R.)
http://100.naver.com/100.nhn?docid=53741
-----------------
중부 유럽 최대의 강.
위치  중부 유럽
면적  15만 9610㎢
길이  약 1,320km

영어로는 Rhine,네덜란드어로는 Rijn,프랑스어로는 Rhin,독일어로는 Rhein으로 쓴다. 본류의 길이 약 1,320km. 유역면적 15만 9610km2. 하구 삼각주 부분을 합친 면적 22만 4400km2. 알프스산지에서 발원하여 유럽에서 공업이 가장 발달한 지역을 관류하여,북해로 흘러든다. 본류는 스위스,리히텐슈타인,오스트리아,독일 ,프랑스,네덜란드 등의 여러 나라를 거치며,운하에 의해서 지중해,흑해 ,발트해 등과 연결된다. 그 중 독일을 흐르는 부분이 가장 길어,독일의 상징이라고 한다.

라인강은 스위스의 토마호(湖)에서 발원하여,그라우뷘덴주(州)의 라이헤나우에서 힌타라인강과 합류하여 보덴호로 흘러든다. 보덴호 서쪽의 샤프하우젠에서는 석회암산지를 가로질러 낙차 24m의 라인 폭포를 이루며 서쪽으로 흐른다. 바젤에서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마인츠까지 약 300km를 너비 20∼30km의 라인 지구대(地溝帶)를 흐른다. 이 부분을 '상부 라인'이라고 하며,남반부는 독일과 프랑스와의 국경을 이룬다.

독일의 빙겐에서는 북서쪽으로 라인 협곡을 흐르는데,이 협곡 부분을 '중부 라인'이라 한다. 특히 빙겐과 코블렌츠와의 사이는 풍경이 아름다운 곳으로,잇달아 나타나는 옛 성(城)과 포도원을 비롯하여 하이네의 시로 유명한 로렐라이의 바위 등, 세계적으로 알려진 관광 코스이다. 다시 본의 남쪽에서 북부 독일 저지로 나와 '하부 라인'을 이루고 북서류하여 네덜란드로 들어가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왈강(본류)과 레크강(분류)으로 나누어져서 북해로 흘러든다.

주요 지류로는 우안에서는 네카,마인,란,루르강,좌안에서는 알레,모젤강 등이다. 라인강의 흐름은 극히 완만하여 예로부터 수운에 이용되어 왔으며,하구의 로테르담항(港)을 기점으로 하여,이곳에 유럽 최대의 유로 포트항을 이루고,유럽 내륙부에 이르는 수상교통로로서 중요한 몫을 하고 있다. 따라서 내륙수로로서의 교통량은 북아메리카의 5대호에 이어 제2위이며,1,000∼1,350t의 소형선박이 바젤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또한 지류인 네카,마인,모젤강도 주운(舟運)이 가능하다.

라인강은 이른바 국제하천으로서 항행의 자유가 선언되었고(1868),본류,지류 연안의 벨기에,네덜란드,독일,프랑스,스위스의 선박이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게 되어 교통량이 증대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후 베르사유조약에서 라인강 관리의 국제위원회가 구성되었으나 후에 나치스 정권에 의해서 거부되었고,라인강을 둘러싸고 프랑스의 마지노선(線)과 독일의 지크프리트선이 대립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알자스를 둘러싼 '상부 라인'의 남쪽 대부분 지역이 프랑스 소속이 되었고, 과거와는 달리 라인강을 둘러싼 첨예한 정치분쟁이 일어나지 않는다.

모젤강 (Moselle R.)
http://100.naver.com/100.nhn?docid=63220
-------------------
프랑스,독일에 걸쳐 흐르는 라인강의 지류.
위치  프랑스,독일
길이 약 544km. 프랑스 북동부 보주산맥의 보주,오랑 두 현의 경계 부근에서 발원하여 북류하면서 에피날을 거쳐 로렌 평원으로 흐른다. 예전에는 뫼즈강에 합류하였으나,현재는 투르에서 동류하고 뫼르트강과 합류하여 북으로 흐른다. 메스 ,티옹빌을 거쳐 룩셈부르크와 독일의 국경을 이루다가 코블렌츠에서 라인강에 합류한다. 로렌 공업지대와 라인 지방을 잇는 중요한 수로로,연안 일대는 '모젤 포도주'로 알려진 백포도주 산지이다.

코블렌츠 (Koblenz)
http://100.naver.com/100.nhn?docid=151776
도이치 코너 : http://100.naver.com/100.nhn?type=image&media_id=56548&docid=151776&dir_id=10040202
-------------------
독일 서부 라인란트팔츠주(州)에 있는 도시.
인구  10만 8800명(2001)

라인강(江)과 모젤강의 합류점에 위치하는 도시로 라인 지방과 모젤 지방의 포도주 교역 중심지이다. 강의 합류 지점이므로 수운의 중심지이기도 하며, 풍부한 숲과 호수의 절경으로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로마 황족으로 이 지방 주둔군 사령관이던 N. 클라디우스 드루수스(N. Claudius Drusus)에 의하여 기원전 9년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의 지명은 카스트룸 아트 콘플루엔테스(Castrum ad Confluentes : '합류 지점의 저장소'라는 뜻)이었다. 카롤링거왕조 때는 프랑크왕국의 궁정이나 성직자들의 집회장소로 유명하였다.

1018년부터 18세기 말까지 트리어 대주교의 지배를 받았다. 1794년 프랑스군에게 점령되었고 1798년에는 프랑스에 병합되었으며, 1815년에는 프로이센의 속령(屬領)이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후 1919년부터 1929년까지 연합국에게 점령당하였다.

가구, 피아노, 의류, 화학 등의 제조업이 활발하며, 주목할 만한 건축물로는 836년 창건된 장크트카스토어교회(Church of St. Castor:1200년경 중건), 에렌브라이트슈타인(Ehrenbreitstein) 요새, 그리고 18세기에 건축된 성채 등이 있다.

유명한 황제 빌헬름 1세의 동상은 제2차 세계대전 때 파괴되었다가 1993년 재건되었다. 이전 서독 정부의 문서보관소 일부가 자리잡고 있다.

https://skymoon.info/a/Photography/189  

만남의 횟수만큼 헤어짐의 숫자들이 있습니다. 덜 한 것도 없고 더 한 것도 없습니다. 세지 않아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하늘-만남과 헤어짐]
   4,084   389

메이르님과 악마님 :인물

[인물] 하늘 0 4,084 389 
   4,084   354

Lietuva (리투아니아) - Vilnius (빌뉴스) :해외

[해외] 하늘 0 4,084 354 
   4,084   318

부산 2002.02.10 :풍경

[풍경] 하늘 0 4,084 318 
   4,087   225

회룡포 :풍경

[풍경] 하늘 0 4,087 225 
   4,090   300

센터님 (사진이야기에서) :인물

[인물] 하늘 0 4,090 300 
   4,094   351

오스트리아, 빈 Wein, Austria :해외

[해외] 하늘 0 4,094 351 
   4,096   135

부산 용호동 철거촌 :풍경

[풍경] 하늘 0 4,096 135 
   4,104   249

수성못 :풍경

[풍경] 하늘 0 4,104 249 
   4,105   328

강원도 철암 :풍경

[풍경] 하늘 0 4,105 328 
   4,129   194

고령 루어 낚시 번개 :풍경

[풍경] 하늘 0 4,129 194 
   4,131   227

러시아, 모스크바 (Russia, Moscow) :해외

[해외] 하늘 0 4,131 227 
   4,131   337

대구 고모역 :풍경

[풍경] 하늘 0 4,131 337 
   4,132   176

비오는 날 청도에서 :풍경

[풍경] 하늘 0 4,132 176 
   4,132   272

동해에서 :풍경

[풍경] 하늘 0 4,132 272 
   4,133   166

부산 범어사 진입로 1 :풍경

[풍경] 하늘 0 4,133 166 
   4,140   302

비쉐흐라트(Vysehrad) 공원 :해외

[해외] 하늘 0 4,140 302 
   4,150   248

동해안 감포, 영덕 :풍경

[풍경] 하늘 0 4,150 248 
   4,152   157

옥상 화단 :정물

[정물] 하늘 0 4,152 157 
   4,156   357

부산 낙동강 하구언 :풍경

[풍경] 하늘 0 4,156 357 
   4,157   354

창녕 우포 :풍경

[풍경] 하늘 0 4,157 354 
   4,159   211

일본 하우스텐보스 (Huis Ten Bosh) :해외

[해외] 하늘 0 4,159 211 
   4,159   289

일본, 유후인 2 :해외

[해외] 하늘 0 4,159 289 
   4,160   380

일본 하우스텐보스 (Huis Ten Bosh) :해외

[해외] 하늘 0 4,160 380 
   4,166   150

우포늪 (창녕) :풍경

[풍경] 하늘 0 4,166 150 
   4,167   117

대구, 봉무공원 :풍경

[풍경] 하늘 0 4,167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