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 (dash)와 ; (semicolon) 의 용법
영어 - (dash)와 ; (semicolon) 의 용법
---------
- (dash)와 ; (semicolon)는 둘 다 문장 안에서 구문을 연결하거나 강조하는 역할을 하지만, 쓰임새와 뉘앙스가 다릅니다. 문법과 스타일 관점에서 차이를 정리해 드릴게요.
* 1. Dash (– 또는 —)
용법
1. 강조나 삽입
문장 중간에 보조 설명, 부연, 생각의 전환 등을 넣을 때 사용
느낌: 갑작스러운 끊김, 강한 강조, 친근한 구어적 어감
예:
Life is short — make the most of every moment.
Depth is not in weight — it may reside in lightness.
2. 대조·연결
두 문장 또는 구를 연결하면서 뉘앙스를 강조
예:
She wanted freedom — he wanted stability.
3. 리듬과 여운
시나 문학에서 감정, 리듬, 여운을 주고 싶을 때 자주 사용
특징
문장과 문장 사이의 “멈춤”이 길고, 말하는 듯한 톤 강조
구어적·문학적 느낌이 강함
---
* 2. Semicolon (;)
용법
1. 독립절 연결
두 개의 독립절(주어+동사)이 논리적·밀접하게 연결될 때 사용
예:
I walk wherever my heart leads; the path unfolds before me.
느낌: 논리적 연결, 정돈된 문장, 격식 있는 톤
2. 복잡한 목록 구분
콤마로 구분하기 어려운 항목들을 나열할 때
예:
I visited Paris, France; Rome, Italy; and Berlin, Germany.
특징
문장 사이를 논리적·문법적으로 연결
문학적 강조보다는 정리된 흐름을 줄 때 적합
비교 요약
구분쓰임톤/뉘앙스예시
Dash (– / —)
쓰임 : 강조, 삽입, 전환, 대조
톤/뉘앙스 : 문학적, 친근, 감정적
예시 : Depth is not in weight — it may reside in lightness.
Semicolon (;)
쓰임 : 독립절 연결, 복잡한 목록 구분
톤/뉘앙스 : 논리적, 격식 있는, 정리된
예시 : Depth is not in weight; it may reside in lightness.
===
Tip
시에서는 dash를 쓰면 리듬과 여운이 강조되고, semicolon은 논리적·철학적 사유를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Depth is not in weight; it may reside in lightness.
semicolon은 철학적 사유를 정돈되고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느낌
Depth is not in weight — it may reside in lightness.
dash는 강조와 서정적 흐름을 주면서 읽는 이에게 여운을 남김
---------
- (dash)와 ; (semicolon)는 둘 다 문장 안에서 구문을 연결하거나 강조하는 역할을 하지만, 쓰임새와 뉘앙스가 다릅니다. 문법과 스타일 관점에서 차이를 정리해 드릴게요.
* 1. Dash (– 또는 —)
용법
1. 강조나 삽입
문장 중간에 보조 설명, 부연, 생각의 전환 등을 넣을 때 사용
느낌: 갑작스러운 끊김, 강한 강조, 친근한 구어적 어감
예:
Life is short — make the most of every moment.
Depth is not in weight — it may reside in lightness.
2. 대조·연결
두 문장 또는 구를 연결하면서 뉘앙스를 강조
예:
She wanted freedom — he wanted stability.
3. 리듬과 여운
시나 문학에서 감정, 리듬, 여운을 주고 싶을 때 자주 사용
특징
문장과 문장 사이의 “멈춤”이 길고, 말하는 듯한 톤 강조
구어적·문학적 느낌이 강함
---
* 2. Semicolon (;)
용법
1. 독립절 연결
두 개의 독립절(주어+동사)이 논리적·밀접하게 연결될 때 사용
예:
I walk wherever my heart leads; the path unfolds before me.
느낌: 논리적 연결, 정돈된 문장, 격식 있는 톤
2. 복잡한 목록 구분
콤마로 구분하기 어려운 항목들을 나열할 때
예:
I visited Paris, France; Rome, Italy; and Berlin, Germany.
특징
문장 사이를 논리적·문법적으로 연결
문학적 강조보다는 정리된 흐름을 줄 때 적합
비교 요약
구분쓰임톤/뉘앙스예시
Dash (– / —)
쓰임 : 강조, 삽입, 전환, 대조
톤/뉘앙스 : 문학적, 친근, 감정적
예시 : Depth is not in weight — it may reside in lightness.
Semicolon (;)
쓰임 : 독립절 연결, 복잡한 목록 구분
톤/뉘앙스 : 논리적, 격식 있는, 정리된
예시 : Depth is not in weight; it may reside in lightness.
===
Tip
시에서는 dash를 쓰면 리듬과 여운이 강조되고, semicolon은 논리적·철학적 사유를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Depth is not in weight; it may reside in lightness.
semicolon은 철학적 사유를 정돈되고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느낌
Depth is not in weight — it may reside in lightness.
dash는 강조와 서정적 흐름을 주면서 읽는 이에게 여운을 남김
![[하늘]](https://heisme.skymoon.info/gb/data/member_image/he/heismeadmin.png)
[하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