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AC 와 mp3

하늘 No.60 [컴퓨터] 4728
AAC 와 mp3
-----------
AAC는 MP3의 후속으로 개발 되었다.

공통점 :
  두 포멧 모두 특정 회사에 편입된 기술이 아닌 공용 표준 기술이다.
  둘 다 손실 압축으로 원본의 상태로 완벽히 복원은 불가능 하다.


AAC 장점 : 더 높은 압축율, 더 넓은 음향 포함 가능, 결과적으로 더 높은 음질


AAC 의 종류 :
 1. AAC-LC : 일반적인 AAC, 음악을 비롯해서 복잡한 음향이 섞인 고음질용 (128kbps 이상에 좋음)
  - 샘플링 레이트 : 8 ~ 96 KHz
  - 비트 레이트 : 8 ~ 512 Kbps
  - CBR(고정 비트레이트), VBR(가변 비트레이트), ABR(평균 비트레이트)
  - 채널 : 1~48채널
 
 2. HE-AAC (v1, v2)  : 일반 음성과 같이 단순한 음향에 대한 고압축용 (128kbps 이하로 사용),  AAC+ 로도 표기
  - 용어의 어감과는 달리 AAC-LC 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고압축/저음질에 사용됨

 
블루투스 AAC :
블루투스에서 AAC 전송 방식은 원본이 AAC 일 경우 다른 포멧의 디코딩/인코딩-전송-디코딩 과정에서 -전송-디코딩 만 거치도록 설계 됨
이를 AAC Bypass라 하며 결과적으로 CPU를 적게 쓰고 빠른 응답속도를 기대할 수 있슴.


m4a와 AAC :
MPEG4 형식에서 비디오를 담는 컨테이너를 m4v, 오디오를 담는 컨테이너를 m4a 로 표기한다.
컨테이너는 여러 파일, 형식을 함께 담을 수 있는 포멧을 의미한다. 영화에서 배경음, 영어 대사, 한국말 대사 이런 식으로..

대부분 m4a 의 경우 aac 형식을 담기는 하지만 aac 가 아닌 다른 포멧을 담을 수도 있다. (AAC,AC-3,MP3,MP2,MP1,Apple Lossless(ALAC)등 가능)
따라서 m4a 는 aac 와 다른 의미로 사용 된다.


m4a 에 담긴 aac 만을 재인코딩(추가손실) 없이 추출/삽입 (변환이라 표기하면 틀린 표현일 수 있슴) 방법 :

ffmpeg -i in.m4a -acodec copy out.aac
ffmpeg -i in.aac -acodec copy -bsf:a aac_adtstoasc out.m4a

https://www.ffmpeg.org/

https://SkyMoon.info/a/HeismeNote/60  

Love what you do, Do what you love [Ray Bradb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