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년동안 하버드에서 연구한 행복의 비밀ㅣ동기부여ㅣ로버트 월딩어

75년동안 하버드에서 연구한 행복의 비밀ㅣ동기부여ㅣ로버트 월딩어

삶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좋은 인간 관계이다
-----------------

만약 여러분이 지금 미래를 위해 투자하고 싶다면 시간과 에너지를 어디에 쓰고 싶으신가요?
최근 밀레니얼 세대에게 한 설문조사가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인생의 목표를 물었을 때, 80 퍼센트 이상이 주된 인생 목표는 부자라고 답했습니다.
세상은 우리에게 계속 더 일하고, 노력하고, 성취하라고 합니다.
이런걸 추구해야 한다고 압박 받습니다.
좋은 삶을 살기 위해 쫒아가야 하는 것이라 생각하면서...

사람들의 인생 전체에서 그들이 한 선택과 그 선택이 어떻게 그 들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지 한 눈에 보기란 거의 불가능 합니다.
인생에 관해 우리가 아는 것은 대부분 과거를 되새겨 보면서 깨우치는 것인데 알다시피 깨우치고 나면 그때는 이미 늦습니다.
하지만 인생 전체를 펼쳐 한 눈에 볼 수 있다면 어떨까요?
사람들을 행복하고 건강하게 하는게 뭔지 볼 수 있다면?...

우리는 그 연구를 했습니다.
75년 동안, 우린 724명의 삶을 추적해 왔습니다.
해마다 그들의 직업과 가정 생활, 건강 상태에 대해 설문 했습니다.

이런 프로젝트는 대부분 10년 이내 끝나고 맙니다.
연구 도중 하차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거나, 연구 자금이 바닥나거나, 연구자들이 연구에 흥미를 잃거나, 연구자가 죽었는데 연구를 이어 받을 사람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러 행운들이 겹치고 수 세대에 걸친 연구자들의 끈기로 이 연구는 살아 남았습니다.

연구 대상이었던 724명중 60여명이 아직도 생존해 있으며 지금도 연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90대 입니다.
그리고 이제 그들의 2천명이 넘는 후손들을 연구할 계획입니다.
저는 이 연구의 네 번째 총 책임자입니다.

1938년부터 우리는 두 개의 집단을 추적해 왔습니다.
첫 번째 집단은 하버드 대학 2학년 대학생들이었습니다.
두 번재 집단은 보스턴의 가장 가난한 지역에서 태어난 소년들이었습니다.
연구가 시작되었을때 그들 모두가 면접을 보았고, 외료 검진을 받았으며, 그들의 부모님까지 인터뷰를 했습니다.

이 두 집단의 소년들은 커서 다양한 직업을 가진 성인이 되었습니다.
피 실험자들은 공장 인부, 변호사, 벽돌공, 의사가 되었고 그 중 한 명은 미국의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몇 명은 알콜 중독자가 되었고 몇 명은 정신 분열증을 앓게 되었습니다.
또 다른 몇 명은 사회의 밑바닥에서 맨 꼭대기까지 올라갔으며 몇 명은 그와 정반대의 길을 걸었습니다.

지금까지 만든 수만 페이지의 인생 데이터를 통해서 우리는 무엇을 배웠을까요?
교훈은 무엇이었을까요?

연구의 교훈은 부와 명예, 열심히 노력하는 데 있지 않았습니다.
75년 간의 연구에서 우리가 얻은 가장 분명한 메세지는 사람들간의 좋은 관계가 우리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관계에 관한 세 가지 큰 교훈을 얻었습니다.

첫째는 사회적 연결은 유익하되 고독은 해롭다는 것입니다.
가족, 친구, 공동체와의 연결이 사회적으로 더 긴밀한 사람들이 더 행복하고 신체적으로 건강하며 연결이 부족한 사람들보다 더 오래 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에 반해 고독은 매우 유해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 이상으로 타인으로부터 고립된 사람들은 덜 행복하다고 느낄뿐만 아니라 중년기에 건강이 더 빨리 악화되고 뇌 기능이 일찍 저하되며 외롭지 않은 사람들보다 수명이 짧습니다.
슬픈 사실은 어느 시기던지 미국인 다섯 중 한 명 이상은 현재 외롭다고 답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군중 속에서 고독할 수 있고 결혼해도 고독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얻은 두 번째 큰 교훈은
친구가 얼마나 많은지 헌신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지의 여부가 아니라 관계의 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연구대상들의 인생을 80대까지 따라가 본 뒤 우리는 그들의 중년을 되돌아보면서 예측하려 했습니다.
누가 건강하고 행복하게 되며 반대로 그렇지 못한 사람은 누구일까요?
50대의 그들에 관해 우리가 아는 모든 것을 종합해 보았습니다.
결론은 얼마나 만족스러운 인간 관계를 맺고 있는가 였습니다.

50세의 인간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사람들이 80세에 가장 건강했습니다.
바람직하고 친밀한 관계가 나이를 먹는 고통에 대한 완충제 역할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관계와 건강에 관해 우리가 배운 세 번째 커다란 교훈은 좋은 관계를 육체뿐만 아니라 뇌도 보호해 준다는 것입니다.
결과에 따르면 타인과 애착으로 단단히 연결된 관계를 가진 80대는 건강하며 관계를 맺고 있는 상대방이 자신이 힘들 때면 의지가 되어 줄거라고 여기는 사람들은 기억력이 더 선명하고 오래 간다고 합니다.
반면 관계를 맺고 있는 상대방이 의지가 안 된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빠른 기억력 감퇴를 보였습니다.
이런 좋은 관계가 언제나 원만할 필요는 없습니다.
연구 대상인 80대 부부 중 몇몇은 며칠이 멀다하고 다투는 경우도 있었지만 힘든 일이 있을 때 서로 의지가 될 거라 믿는 한 그런 다툼은 기억력에 큰 타격을 주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메세지 즉 친밀하고 좋은 관계가 건강과 행복에 이롭다는 것은 옛날 옛적부터 전해지는 지혜이기도 합니다.
왜 깨닫기는 어렵고 잊기는 쉬울까요? 우리는 사람이니 그러할 것입니다.
우리는 빠른 해결책을 너무 좋아합니다.
삶을 계속 행복하게 해 주고 가질 수 있는 걸 원합니다.

인간 관계는 골치 아픕니다.
평생동안 해야 하고 죽기 전까지는 끝나지 않습니다.

우리의 75년간의 연구를 함께 한 연구원들중 그들이 은퇴후 가장 행복했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동료 연구원들과 친구가 되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한 사람들입니다.
밀레니얼 세대가 설문에서 답한 것처럼 우리의 연구 대상들도 젋은 시절에서는 대부분 부와 명성, 높은 성취를 추구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좋은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75년간의 우리의 연구는 거듭해서 보여주었습니다.
가장 행복한 삶을 산 사람들은 자신이 의지할 가족, 친구, 공동체가 있는 사람들이었다는 결과를 내 놓았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들은 어떤가요?

- 본문 타이핑 : Heisme

----------------------

잭스파이어 Jackspire

하버드 대학에서 75년 동안 계속되고 있는 한 연구가 있는데..

Speaker : 로버트 월딩어 (Robert Waldinger)
Music by Audio Jungle

구독하기 : https://goo.gl/wPTG2y
당신의 인생을 바꿔줄 영상 : http://bitly.kr/4klZ3d
생각의 폭을 넓혀줄 영상 : https://bit.ly/2VuJFpm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jackspire4

https://youtu.be/ohqR4g4bUV0
https://youtu.be/FBmihkdc5Es

https://SkyMoon.info/a/HeismeNote/307  

바람도 달빛도 아닌 것. 갈대는 저를 흔드는 것이 제 조용한 울음인 것을 까맣게 몰랐다 [신경림-갈대]